영예의
수상자들
나눔을 통해 행복을 느끼고 이웃의 안전을 살피며,
어려움 속에서도 희망을 전하는
대한민국의 자랑스러운 얼굴들입니다.
-
국민포장이옥선
“좋은 일 하고가면 다음 생에선 행복할 수 있겠지”

“힘들었어, 힘들어… 말도 못하게 고생했어… 내가 전생에 무슨 죄를 지어서 그러고 고생하고 살았나 몰라.”
지금도 치가 떨리고 몸서리가 쳐져 잠이 오지 않는다고 하소연하는 이옥선 할머니. 그녀는 세상 누구보다 모진 경험을 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다.
가난한 집 맏이로 태어나 학교도 다니지 못한 옥선은 학교에 보내주겠다는 말에 식당에 양딸로 들어갔다. 하지만 그녀를 양딸로 삼은 이들은 옥선을 식모처럼 부려먹기만 했다. 배를 곯는 설움 보다 더 서러웠던 계부, 계모의 구박. 하지만 그녀의 고난은 그게 시작일 뿐이었다. 집으로 다시 돌아간 옥선은 16세 되던 해,마을 대부분의 처녀들과 함께 일본군 위안부라는 시대가 낳은 운명의 소용돌이에 휩쓸리게 된다.
내 삶을 내가 선택할 수 없는 현실. 흑독한 일본군 위안부 생활로 수차례 죽을 고비를 넘긴 기 막힌 인생. 종전이 되면서 겨우 지옥 같은 생활에서 벗어날 수 있었지만 차마 고향에 돌아갈 순 없었다.
속리산 법주사에서 봉사활동을 하면서 허드렛일과 사람들의 심부름을 해주며 힘들게 살았다. 모진 고통의 세월 속에서도 할머니는 나라를 원망하지 않았고,오히려 우리나라의 부국강병을 기원하며 아침마다 태극기를 게양했다. 또 동네 노인들에게 음식을 베풀며 따뜻한 정을 나누었다.
2009년,할머니는 누구도 생각할 수 없었던 큰 결심을 하게 된다. 20년간 생활비와 약값을 아껴 모은 돈 2천만 원을 ‘보은군민장학회’ 에 기부하기로 한 것이다. 평생을 시련을 안고 살아온 할머니 에게는 전 재산 같은 거금이었다.
‘내가 못나고, 내가 가난하고,내가 글을 모르고,내가 전생에 죄가 많아 이렇게도 고생하고 산것 같아. 좋은 일 하나라도 하고 가면 아마 다음 생에는 좋은 데서 태어날 수 있지 않을까?’
자신이 가난하고 못 배워 불행하게 살았다 생각하는 그녀는 자신의 인생이 고스란히 담긴 돈 2천만 원으로 가난 때문에 학업을 이어가기 어려운 학생들이 좀 더 배울 수 있도록 돕고 싶었던 것이다.
여든의 나이를 넘긴 이옥선 할머니…. 가시덤불 같은 혹독한 인생을 걸어왔지만, 그녀는 모든 것을 용서하고 모든 것을 품에 안을 줄 아는 넉넉한 우리네 어머니요,할머니다. 나라의 아픔과 설움을 온몸으로 이겨내고 원망 대신 더 큰 사랑으로 세상을 품어 안으며 한평생을 착하게 그리고 열심히 살아낸 이옥선 할머니.
국민추천포상은 그런 할머니의 삶에 이웃들이 뜻을 모아 바치는 존경과 감사의 훈장과도 같은상이다.
